가상화폐 중 비트코인 다음으로 대표적인 이더리움(ETH)이 최근 급격한 가격 하락을 겪고 있다.
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과 점프 트레이딩의 대규모 매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한다.
9일 새로 발표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측보다 낮게 나오면서 시장 상황이 개선되고, 이더리움 가격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2주차에 비트코인처럼 강한 상승세를 보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시점에는 가상화폐 현물을 바탕으로 개발된 ETF 품목은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두 가지뿐이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 현물 ETF는 출시 이전부터 지금까지 비트코인 현물 ETF와 지속적으로 비교되어 왔다.
우선 비트코인 시세는 지난 11월 자산운용사 및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실물 기반 ETF 상품 승인 여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11월에 3만 7000달러였던 비트코인 가격은 두 달 만에 25% 증가하여 1월 11일 출시 당일에는 약 4만 6600달러를 달성했다.
하지만 출시 직후에는 '뉴스에 팔아라'라는 주식시장의 밈 현상이 나타나면서,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 물량이 급증하였고, 이로 인해 약 2주간 가격 조정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실물 ETF 상장 후 2주가 지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다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1월 24일 경 약 3만 9500 달러였던 비트코인 가격은 이후 두 달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3월 14일에는 사상 최고치인 7만 3000 달러를 달성하였다.
5월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공식 심사 요청서를 승인한 후, 이더리움 가격은 약 3800달러까지 상승했다가 이후 변동을 거듭하였고, 출시 당일에는 약 3400달러였다.
하지만 실제 상품인 ETF의 거래가 개시된 이후 이익 실현을 위한 매도 물량 증가와 더불어 경기 침체 우려 등 부정적인 요인들이 겹치며 최근 2주 동안 이더리움 시세는 내림세를 기록하였다.
최근에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 악화와 함께 점프 트레이딩 같은 기업들의 대규모 매도 물량이 더해져 이더리움 가격이 하락하였다.
이더리움 현물 ETF가 인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시장 환경이 이더리움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ETF가 인가된 후 두 달 동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이더리움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의견은 달랐다.
먼저 미국 대선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이더리움 ETF가 승인되었고, 현재 시장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투자를 보류하였다. 지난주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이더리움 가격은 3000달러 아래로 하락했으며, 현재는 2600달러 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추후 더 떨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경제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분위기 비교 (0) | 2024.08.21 |
---|---|
서울, 수도권 아파트 최근 동향 (1) | 2024.08.20 |
티몬 위메프 사태 (0) | 2024.08.10 |
주가가 요동치는 이유- 엔캐리 트레이드는 무엇인가? (2) | 2024.08.09 |
근로장려금 신청방법부터 자격요건까지 알아보자! (3) | 2024.07.23 |